나만의 시크릿! 사회학습이론 알고보면 좋아요
반갑습니다:ㅁ마리꾸 이에용.반갑게도 저희 페이지를 놀러와주셔서 감사합니다.:ㅁ하늘이 화창한게 헤헤 만족해요.언니오빠들은 오늘은 무얼 하시면서 보내셨나요? :-ㅁ오늘 이야기할 주제는인데요.이제 준비되었으면 지금 시작해보도록 할게요. 가즈아 :ㅁ

오맞다 사실저도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문화적 일탈이론과 범죄 사회학습이론 에 관하여 진짜 궁금했어요.이웃님들 검색에 제가 행복한마음으로 알아냈어요!그람 진짜 고고씽해볼까요?잇님들의 행복에 힘입어서곧 크럼볼츠의 진로선택 사회학습이론 시작합니다.
많은 이웃

반두라는 1977년 출간한 《사회학습이론》을 통해 사회학습이론의 학문적 발판을 마련한 심리학자로, 초기에는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 출발해 나중에는 인지적 측면을 중시하는 사회학습이론을 발전시켰다.
사회학습이론은 사람의 행동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어떤 주어진 상황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이론으로 해석합니다.
이런 점에서 보상이나 처벌의 조작결과로 인간의 행동이 결정됩니다는 종래의 학설과는 다르다.
이를 반두라는 관찰학습으로 정의하고, 관찰학습에 모방의 범주까지 포함시켰다.
다시 말해 관찰학습에는 관찰한 것을 모방하는 모방학습뿐 아니라, 어떤 상황을 관찰하였으나 모방하지는 않는 학습까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눈앞으로 돌이 날아온다고 하면, 누구든 그 돌에 맞지 않고 피할 것입니다.
이 경우 당사자는 돌이 날아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학습은 하였지만, 모방하지는 않았는데, 반두라는 이러한 학습이 인지적인 과정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따라서 사회학습이론에서는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에만 초점을 맞추는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달리,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인지과정도 중시합니다.
다시 말해 관찰학습을 통해 형성된 정보는 자기 효율성이라는 강화(强化)를 통해 필요성이 있을 때 행동으로 옮겨지는데, 이처럼 관찰에서 행동에 이르기까지는 4가지 단계가 필요합니다.
첫째, 관찰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행동이나 상황이 관찰자의 주의를 끌어야 합니다.
이를 집중 단계라고 합니다.
둘째, 관찰을 통해 학습한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가 인지과정으로, 학습한 정보가 내적으로 보유·강화되는 단계입니다.
셋째, 저장된 기억을 재생하는 단계로, 학습한 내용과 관찰자의 행동이 일치하도록 자기 수정이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넷째, 학습한 내용대로 행동에 옮기기 전에 기대감을 갖게 만드는 동기화 단계입니다.
사회학습이론에서는 다른 사람의 행동, 인지구조 등을 중시하는 것 외에 대중매체를 통해 제시되는 모델, 여러 환경의 상호작용 등도 중요한 학습 요인으로 다룬다.

이번포스팅은 사회학습이론 을 조사하여 알아보았는데요.사회학습이론도움 되셨나요?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셔요여기까지 문화적 일탈이론과 범죄 사회학습이론 먀리크 드립니다.다음에 다시만나요~바이~
